2025년 경기도 화성시 출산 지원금 및 육아 지원 정책 총정리
2025년 화성시는 임신부터 출산, 양육까지 다양한 지원정책을 통해 부모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고 있어요. 실제로 지원을 받은 부모들의 후기도 함께 정리해 궁금증을 해소해드릴게요.

💰 주요 현금성 지원 정책
정책명지원대상 및 조건지원금액/내용신청방법
첫만남이용권 | 2022년 1월 1일 이후 출생아 | 200만원(국민행복카드 바우처, 1년 내 사용) | 출생신고 후 자동 지급 |
출산지원금 | 2023년 이후 출생아, 화성시 거주 | 첫째 100만원, 둘째·셋째 200만원, 넷째 이상 300만원(현금) | 출생신고 후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
성장발달 지원금 | 2021년생·2023년생, 아동수당 수급, 양육수당 미수급 | 연 1회 20만원(아동수당 계좌 자동 입금) | 별도 신청 없이 자동 지급 |
산후조리비 지원 | 경기도 거주 산모, 출생일 기준 12개월 이내 | 50만원(현금) | 출생신고 후 정부24, 주민센터 등 |
부모급여 | 만 0세 월 100만원, 만 1세 월 50만원 | 현금 지급(보육시설 이용 시 차액 지급) | 복지로,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
양육수당 | 어린이집·유치원 미이용 2~6세 아동 | 월 10만원(연령별 차등) | 복지로,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
🍼 임신·출산·양육 서비스
가정양육수당 추가 지급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을 이용하지 않는 17~21년생 아이가 있는 가정에는 별도 신청 없이 월 5만원의 가정양육수당이 추가로 지급돼요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서비스
기준중위소득 무관, 산모·신생아 건강관리사 파견, 산모 회복과 신생아 돌봄, 가사 지원까지 받을 수 있어 실제로 산후 회복과 육아에 큰 도움이 된다는 후기가 많아요.
가임력 검사비 지원
20~49세 남녀 모두 여성은 13만원, 남성은 5만원까지 최대 3회 지원돼요. 임신 전 건강검진, 엽산제·철분제도 무료로 제공돼요.
경기형 가족돌봄수당
생후 24~48개월 미만 아동이 있는 맞벌이 가정 등 양육공백 발생 시 월 40시간 이상 돌봄을 수행하면 가족돌봄수당이 지급돼요. 화성시 포함 11개 시군에서 시행하며, 경기민원24에서 신청할 수 있어요
👶 보육·양육 환경 지원
보육료 지원
만 0~5세 어린이집 이용 아동에게 보육료가 지원돼요. 0세반 월 54만원, 1세반 월 47.5만원, 2세반 월 39.4만원 등 연령별로 차등 지급돼요
아동수당
만 7세 미만 아동에게 월 10만원씩 현금으로 지급돼요.
육아종합지원센터
놀이·안전체험, 발달검사, 상담 등 다양한 프로그램 제공, 실제 이용자들은 아이와 함께 장난감 체험, 또래와의 상호작용, 발달검사 등 실질적인 도움을 받았다는 후기가 많아요.
🎁 기타 지원 및 생활 혜택
임산부 친환경 농산물 꾸러미
임산부 또는 2024년 1월 1일 이후 출산 산모에게 연 40만원 상당의 친환경 농산물을 자부담 8만원으로 받을 수 있어요.
다자녀 가정 전기료·도시가스료·차량 취득세 감면
다자녀 및 출산가구 대상 생활비 절감 혜택도 제공돼요.
출산·육아용품 지원
출생축하카드, 출산·육아용품 등도 추가로 지원돼요.

💬
2025년 경기도 화성시 출산 지원금 및 육아 정책 리뷰 & 궁금증
Q&A
Q. 화성시 출산지원금, 첫째부터 받을 수 있나요?
네, 2023년 이후 출생아부터 첫째 100만원, 둘째·셋째 200만원, 넷째 이상 300만원을 현금으로 받을 수 있어요. 실제로 출생신고 후 몇 주 내에 지급돼서 초기 양육비 부담이 확 줄었다는 후기가 많아요
Q. 성장발달 지원금은 어떻게 받나요?
2021년생과 2023년생 중 아동수당을 받고, 양육수당은 받지 않는 아동이면 별도 신청 없이 연 1회 20만원이 자동 입금돼요
Q. 산후조리비 지원은 누구나 받을 수 있나요?
경기도 거주 산모라면 소득 제한 없이 출생일 기준 12개월 이내 50만원을 받을 수 있어요. 실제로 산후조리원 비용에 큰 도움이 됐다는 후기가 많아요
Q. 가족돌봄수당은 어떤 가정이 받을 수 있나요?
맞벌이, 다자녀 등 양육공백이 발생해 친인척이나 이웃이 월 40시간 이상 돌보는 경우 월 40만원을 받을 수 있어요. 경기민원24에서 신청하면 되고, 실질적으로 도움이 된다는 후기가 있어요
Q1. 화성시에서 지원하는 출산지원금은 얼마나, 어떻게 받을 수 있나요?
화성시는 출생 순서에 따라 출산지원금을 차등 지급하여 다자녀 가정을 적극적으로 응원하고 있어요. 2025년 기준으로 첫째 아이는 100만 원, 둘째 아이는 200만 원, 셋째 아이는 1,000만 원, 넷째 이상에게는 2,000만 원을 지급할 예정이에요. 출생신고 시 주소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서 간편하게 신청할 수 있어요.
Q2. 정부에서 전국 공통으로 지원하는 '첫만남이용권'과 '부모급여'는 무엇인가요?
'첫만남이용권'은 모든 출생아에게 200만 원의 국민행복카드 바우처(포인트)를 지급하여 초기 양육 물품 구매 부담을 덜어주는 제도예요.
'부모급여'는 가정 양육을 지원하기 위해 매월 현금을 지급하는 제도로, 2025년에는 만 0세(0~11개월) 아동에게 월 100만 원, 만 1세(12~23개월) 아동에게 월 50만 원을 지원해요. 두 가지 모두 '복지로' 웹사이트를 통해 온라인으로 신청하거나 행정복지센터에서 방문 신청할 수 있어요.
Q3. 경기도민으로서 받을 수 있는 추가적인 혜택도 있나요?
물론이에요. 경기도에서는 모든 출산 가정에 '경기도 산후조리비 지원' 사업을 통해 50만 원을 화성시 지역화폐로 지급하고 있어요. 이 지원금으로 산후조리원뿐만 아니라 산모의 회복과 신생아 건강관리를 위한 다양한 곳에서 사용할 수 있어 활용도가 높아요.
Q4. 그 외 화성시에서만 누릴 수 있는 특별한 육아 지원 정책이 있나요?
화성시는 두 자녀 이상 가정에 '화성시 다자녀 PLUS 카드'를 발급하여, 관내 다양한 공공시설 및 민간 협약 상점에서 할인 혜택을 제공하고 있어요. 또한, '화성시 육아종합지원센터'를 통해 장난감 대여, 시간제 보육, 부모 교육 등 전문적인 육아 지원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니 꼭 활용해 보세요.
🗂️ 2025년 화성시 출산·육아 지원 정책 한눈에 보기
정책명지원대상/조건지원금액/내용신청방법
첫만남이용권 | 2022년 1월 1일 이후 출생아 | 200만원(바우처) | 출생신고 후 자동 지급 |
출산지원금 | 2023년 이후 출생아, 화성시 거주 | 첫째 100만원, 둘째·셋째 200만원, 넷째 이상 300만원 |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
성장발달 지원금 | 2021·2023년생, 아동수당 수급, 양육수당 미수급 | 연 1회 20만원(자동 입금) | 별도 신청 없이 지급 |
산후조리비 지원 | 경기도 거주 산모, 출생일 기준 12개월 이내 | 50만원(현금) | 정부24, 주민센터 등 |
부모급여 | 만 0세 월 100만원, 만 1세 월 50만원 | 현금 지급(보육시설 이용 시 차액 지급) | 복지로 등 |
양육수당 | 어린이집·유치원 미이용 2~6세 아동 | 월 10만원(연령별 차등) | 복지로 등 |
가족돌봄수당 | 24~48개월 미만, 양육공백 가정 | 월 40만원 | 경기민원24 |
https://www.gov.kr/mw/AA020InfoCappView.do?CappBizCD=17410000001
https://www.childcare.go.kr/?menuno=279

2025년 화성시 출산·육아 지원 주요 연락처 및 사이트 모음
◼︎ 화성시 출산·육아 정책 문의
화성시청 여성가족과
전화번호: 031-5189-2548
주요 업무: 화성시 출산지원금, 다자녀 혜택 등 시 자체 지원 정책 문의
거주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주요 업무: 출생신고, 첫만남이용권, 부모급여 등 방문 신청
◼︎ 전국 공통 지원 및 온라인 신청
보건복지상담센터
전화번호: 129
웹사이트: bokjiro.go.kr
주요 업무: 부모급여, 첫만남이용권 등 전국 공통 정책 온라인 신청 및 문의
◼︎ 경기도 및 기타 지원
경기도 콜센터
전화번호: 031-120
주요 업무: 경기도 산후조리비 지원 등 경기도 정책 문의
화성시 육아종합지원센터
전화번호: 031-8059-1640
웹사이트: hsicare.or.kr
주요 업무: 장난감 대여, 시간제 보육, 부모 교육 등 각종 육아 프로그램 안내
화성시청 보건소 (건강증진과/모자보건팀): 031-5189-4000
화성시 출산종합지원센터 (맘나무센터): 031-369-3155
화성시육아종합지원센터: 031-5189-4400
화성시 공식 홈페이지: www.hscity.go.kr → "살림정보" > "가족/보육" 또는 "보건" 메뉴
경기도 육아종합지원센터 포털 (아이사랑): www.childcare.go.kr
보건복지부 육아정책 홈페이지: www.childcare.go.kr
유의사항:
지원금 금액, 신청 자격, 구비서류 등은 변경될 수 있으니 화성시 공식 홈페이지 또는 보건소 건강증진과/맘나무센터/읍면동 주민센터로 최신 정보를 꼭 확인하세요.
임신을 확인하셨다면 화성시 맘나무센터(031-369-3155)에 연락하시면 맞춤형 안내와 서비스를 받으실 수 있어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