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코로나 바이러스 글로벌

코로나 변이 3종 동시 발생 !! B

by 빌베리 2021. 2. 5.
반응형

4. 바이러스 전이의 KEY, 스파이크 단백질

 

 

 

 

 

 

스파이크 단백질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페플로머라고도 불리며 사진처럼 돌기가 돋아난 외피 모양을 하고 있어 스파이크란 이름이 붙었는데 이 바이러스가 숙주세포의 수용체와 결합할때 활용됩니다.


이 단백질이 코로나가
다른 세포로의 성공적인 침투에 핵심 역활을 하게됩니다. 메르스 역시 이 스파이크 단백질이 확산의 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전문가들은 적어도 단기적으로는 현재까지 나온 백신들이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봅니다. 즉 백신을 변형하여 "수개월 내로 이 변이 바이러스에 더 효과적으로 만드는 게 가능"하다고 말하지만 수개월은 짧은 기간도 아니며 아직은 가정입니다.

 

 

기존의 백신이 기존의 코로나 변종 모두에 대해 감염, 전염률과 중증 발생률을 감소시킬수 있다고 보는 이유는 현재까지 발견된 대부분의 변이가 스파이크 단백질의 형태를 바꾸진 않았기 때문입니다.

 

 

 

5. 점점 독해지는 변이 바이러스

 

 

현재 전세계에 변이 3종 바이러스가 모두 발현된 국가는 9개국입니다.  이것은 시간이 지날수록 변이 바이러스의 3차 4차 변이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더 전염성이 강한 변이가 지배종이 도면 집단 면역에 필요한 기준치가 더 올라갈 것입니다. 한국도 예외는 아닙니다. 현재 진행중인 변이 바이러스의 새로운 변이 및 확산은 시간문제로 봅니다. 

 

 

 

 

울고 있는 사람은 16세 소녀로 이곳은 향년 37세에 코로나 바이러스로 사망한 엄마의 무덤앞이다.

 

 

73세에 코로나 바이러스로 사망한 한 노인의 관을 묻는 모습이다.

 

위 사례들은 모두 브라질에서 찍은 사진들이다. REUTERS Bruno Kelly

 

병원 코로나 환자 또는 자가격리 환자의 가족들이 산소통에 산소를 공급받기 위해 모여있다. 

 

 

질병관리청에 의하면 국내에서 세 가지 변이 바이러스 감염 사례는 총 34명입니다.

영국발 변이 23명, 남아공발 6명, 브라질발 5명 등인데, 영국과 남아공 변이 바이러스는 약 1.5배 전파력이 증가됐다고 보고됐고, 브라질 변이 바이러스도 그럴 가능성이 있다고 봅니다.

 

브라질 변이 바이러스는 높은 재감염률이 특징인데, 미국 매사추세츠대 교수는 브라질 변이 바이러스 확진자 폭증 현상이 가장 우려스럽다고 합니다. 브라질에선 같은 사람이 남아공과 브라질 변이 바이러스에 동시 감염된 사례까지 나왔다. 이 바이러스들이 단순한 ‘변이’ 수준을 넘어 더 큰 감염력·치명률을 보이는 ‘변종’ 수준으로 넘어간 것 아니냐는 추측도 한다고 합니다.

 

 

 

 

 

6. 올 3~4월 변이 바이러스 대유행 가능성

 

우리나라에선 여전히 하루 신규 확진자가 300~400명 나오는 데다, 변이 바이러스 감염이 확산할 경우 더 큰 파고의 4차 대유행이 닥칠 가능성 우려.

 

미국만 봐도 코로나 기세가 잡히지 않아 더욱 우려스러운데, 2021년 봄이 오면 변이종이 더 지배적으로 될 가능성도 있다고 합니다.

 

정재훈 가천대의대 교수는 “지금까지 국내 1~3차 유행 과정이나 해외의 코로나 유행 패턴을 분석해보니,

각 유행 사이의 간격은 짧아지고 유행 강도는 더 커지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면서 “4차 대유행이 올 3~4월 사이에 벌어질 수 있다
”고 봅니다.

 

 

 

 

 

7. 3대 백신의 변이 바이러스 저항력

 

변이 바이러스는 기존에 개발된 백신에 대한 저항력을 가진 것으로 나타납니다.

국내 도입될 예정인 화이자·모더나·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의 변이 바이러스 예방 효과는 조사되지 않은 상태며, 얀센·노바백스 백신은 예방 효과가 49~57% 수준이다.

 

정부는 이달부터 백신 접종에 들어가 상반기 중 1030만명에게 백신을 맞힌다는 계획이지만.

백신에 모든 것을 의존하는 자세는 지양해야 할것으로 보입니다.

 

새로운 변이 바이러스 출현을 막을수 없을지는 몰라도 전파력을 떨어트리고 국내 코로나 청정지역을 늘려갈 수 있다면

더 희망적인 대처방안이 나오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무엇보다 변이 바이러스의 유입을 원천 차단하는 게 급선무라고 입을 모읍니다.

 

 

 

 

반응형